현재 아이폰8에 대한 다양한 소식들이 들여오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이야기가 바로 디자인에 대한 내용이죠.

이유는 지문 인식 센서의 위치나 홈버튼 위치 등에 대한 궁금증이 많기 때문인데요.

최근 디스플레이로 예상되는 이미지가 나와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어디에서 나온 정보일까?

현재 아이폰8 디자인 관련해서 독보적인 정보력으로 소식을 전하고 있는 트위터에서 나왔습니다.

원래 지문인식이 뒷면에 장착된다는 주된 의견에서 내장형으로 변경이 된다는 걸 알렸던 분인데

이번에는 그 스크린 관련 내용이라 더 신뢰가 된다고 합니다.



이런 모습이다.

조금은 이상하다는 느낌일 들 수도 있습니다. 아이폰8 디스플레이 사진으로는 생각되지 않을 정도의 모습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이미지는 회로와 OLED 사이에 들어가는 브라켓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위 아래에 다양한 연결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주목할만한 내용은 




1. 홈버튼이 없다.

즉 내장형으로 등장하면서 내부적으로 접지 스트링을 이용하게 될 듯합니다.

이 기술은 갤럭시S8에서 이미 적용이 되었기 때문에 문제는 없을 듯합니다.

하지만 아이폰7의 경우 홈버튼 노치 부분이 있어서 인식을 높였는데 이번에는 어떻게 할지 조금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사실 스프링 방식이 좋기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오작동이 너무 많습니다.

그냥 그 근처에 누르기만 해서 반응을 하는 형태라 조금은 이상하지 않을까 생각되기도 합니다.

아래 이미지는 아이폰7입니다.



2. 이제 스크린 주변의 디자인은 거의 확정

아이폰8 디스플레이를 보면 최소한의 베젤을 가진 구조이면서 

동시에 윗면과 아랫부분까지 확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건 거의 풀 스크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등장한 스트린 브라켓을 보면 이미 그런 모습들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센서 등의 위치들이 약간 예측이 되는 듯 합니다.





과연 믿을 수 있을까?

현재 이 소식은 대만의 조립공장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참 재미있는 건 몇 주 전 애플은 아이폰8 관련 소식이 너무 빨리 외부로 알려져서 

전체 직원 대상으로 보안 세미나까지 열었습니다.

거기에서 나온 조사 결과가 재미있습니다.

대만이나 중국에서는 돈을 목적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미국 등에서는 자신의 블로그 등으로 사람을 유입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한다고 하네요.

일단 이미지는 유출이 되었고 정보는 지금 돌고 있습니다.

앞으로 또 어떤 소식들이 있을지 한번 기다려봐야 할 듯합니다.




삼성의 하반기 주력 모델 갤럭시노트8이 곧 등장할 예정입니다.

8월 말 공개 목표로 거의 제작이 다 완료되어 제품 생상 중이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들이 이제 등장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최근 기존의 정보와는 다른 내용이 등장해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삼성 갤럭시노트8 디자인은 이렇습니다.

앞면은 갤러시S8 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지만 크기는 더 커집니다.

그리고 S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안에 내장된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뒷면으로 이동합니다.

카메라는 아이폰8처럼 세로형으로 배치가 되고 그 아래 지문센서가 탑재되는 형태가 많이 화자 되었습니다.





또 다른 갤럭노트8 디자인은 이렇습니다.

앞면은 변화가 없습니다.

이유는 이미 안정성이나 활용성을 검증된 디자인이 문제가 적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대로 적용이 됩니다.

하지만 큰 차이는 뒷면입니다.

세로형 카메라가 가로형으로 변경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지문인식 센서가 동일하게 배열이 되어 있고 심박 측정등의 센서가 그 상이 배치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카메라 아래쪽에 지문센서 배치가 되는 게 좋은데....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뒤면을 보면서 지문인식을 하지 않고 대충 짐작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카메라를 가리는 일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아예 구분된 공간에 두면 어떨까라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삼성의 대안은 구분이 아니라 재배치입니다.

갤럭시S8의 경우 센서 렌즈 지문인식의 순서를 렌즈 센서 지문인식 순으로 바꾸어서

갤럭시노트8을 사용 할때 손이 렌즈에 다가가는 것을 막아본다는 입장으로 변한 듯합니다.

과연 어떻게 좋을지 모르겠네요.




현재 갤럭시노트8에 대한 기대가 높습니다.

이유는 노트7이후 처음 나오는 시리즈이기 때문에 이전보다는 더 발전된 기능들이 있지 않을까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

특히 S펜의 경우 어떻게 활용이 되지는 기대가 큰데 아직 자세한 내용들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크기가 더 커져서 불안할 수 도 있지만 아주 조금만 더 커진 형태로 사용하는 데는 불편이 없을 거 같네요.

한가지 문제는 가격이 너무 비싸서 8월 공개 이후 9월에 판매를 할 때 어느 정도 소비자들이 몰리 지 한번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최근 많은 소문이 나오고 있는 아이폰8입니다.

그런데 특이한 건 화이트와 블랙 색상의 렌더링 이미지가 나와서 관심을 받고 있는데

꽤 완성도가 높게 나왔다고 합니다.






화이트와 블랙은 아주 고전적인 색상입니다.

하지만 아이폰8 색상으로 볼 때는 너무 잘 아울린다고 할 수 있을 듯합니다.


화이트의 경우 

실퍼 프레임과 잘 조화가 되고 있는 베젤이 최소화된 형태이지만 

화이트 색상이 근사한 라인을 형성해주고 있습니다.

뒷면의 경우 유리로 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잘 어울리고 세로형 카메라의 블랙 색상과도 잘 조화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블랙의 경우 

아이폰8 색상으로 늘 등장했던 느낌이라 새롭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여전히 인기 있는 색상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되고 

화이트에 비해 전체적인 화면 크기가 더 넓게 보이도록 착각을 할 수 있습니다.

실버 테두리의 경우 블랙과도 나쁘게 어울리지 않아 보면 볼수록 매력적이기도 합니다.

현재 아이폰7플러스 로즈 골드를 사용하는 데 

이번에는 블랙 아니면 화이트를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화이트가 스크래치를 덜 보이도록 한다.

내 그럴 수가 있습니다.

무선 충전 기능을 위해 강화유리를 뒷면에 적용할 예정인 아이폰8이기 때문에 

스크래치는 어쩔 수 없는 현상입니다.

문제는 스크래치가 많이 난 경우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뒷면 유리 부분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케이스가 굉장히 많이 팔릴 듯 보입니다.




현재 나온 이미지도 그렇지만 기존의 소문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베젤은 최소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아이폰8 디스플레이 안에는 홈버튼이 내장이 되고 동시에 지문 인식 센서까지 포함이 됩니다.

뒷면 유리 몸체의 경우 무선 충전을 대응하기 위해 적용이 되고 

카메라는 세로형이 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